임시

다큐온 뼈의 산 백마고지 유해발굴작전 김일수 조웅성 하사 EOD 폭발물 처리부대 이승초 중사 국방부 감식단 비무장지대 화살머리고지 다큐On 163회 10월 16일

아리아리동동 2022. 4. 25. 21:57

다큐온 뼈의 산 백마고지 유해발굴작전 김일수 조웅성 하사 EOD 폭발물 처리부대 이승초 중사 국방부 감식단 비무장지대 화살머리고지 다큐On 163회 10월 16일

KBS1 다큐 On 163회 2022년 10월 16일 방송 출연진 프로필 촬영지 위치 어디 촬영장소

뼈의 산 - 백마고지 유해발굴작전

백마고지에서 발굴된 7번째 유해(고 김일수 하사로 신원확인)

백마고지 승전 70년 - 한국전쟁의 상처가 온전히 남아있는 DMZ이 열렸습니다.

2019년 4월, 남북 정상이 만나 평화를 전제로 한 상호 합의(9.19합의)에 따라 DMZ 안에 잠들어 있는 한국전쟁 희생자들의 유해를 수습하기로 합의합니다.

2021년, 9.19합의에 따라 비무장지대 화살머리고지에 이어 한국전쟁 최대 격전지 백마고지 유해발굴이 시작됐습니다.

백마고지 전투는 한국전쟁사에 가장 치열했던 전투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휴전 협정이 진행되던 1952년 10월 6일부터 10월 15일까지 10일간 치러진 전투입니다.

중공군 3개 사단 4만 5천의 병력을 한국군 9사단이 막아내며 승리했습니다.

백마고지 승전 70주년을 맞이해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백마고지 유해발굴작전 2년 동안의 기록을 방송합니다.

백마고지 유해발굴은 5년의 동안 백마고지를 중심으로 화랑고지까지 이어지는 한국전쟁 당시 격전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북한과 군사분계선이 맞닿은 비무장지대 유해발굴인 만큼 수많은 변수를 고려해 발굴은 진행되었습니다.

한국전쟁이 남긴 상처 - 한국전쟁은 UN과 중국이 참전한 세계 전쟁이었습니다.

2021년 미군 유해 송환(성남비행장)

2022년 중국군 유해송환(인천공항)

중공군 1만오천, 한국군 3천 5백명이 이곳 395고지(백마고지)에서 생을 마쳤습니다.

그들 중 상당수는 아직도 백마고지에 유해로 남아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인도적인 차원과 평화 협력이란 대 전재를 통해 이들의 유해를 발굴해 중국으로 돌려주고 있습니다.

화살머리고지에서는 3년 동안 143구의 유해가 발굴되었고, 이중 중국군으로 확인된 유해 88구를 올 해 중국으로 송환했습니다.

“중국 인민들은 한국전쟁에 참전해 돌아오지 못한 유해들을 기다리고, 고대하고 있습니다”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는 유해 송환이 이루어진 인천공항에서 중국군 유해발굴에 나선 한국 정부에 감사인사와 추후 발굴에 대한 기대와 협조의사를 전했습니다.

한국군과 중국군 이외 UN 참전국의 유해들은 각 나라의 매장 관습에 따라 국방부와 협의해 송환이나 묘지를 만들어 모십니다.

우리 정부는 2021년 미군 추정 유해 5구를 미국으로 송환하고, 미국은 북한과 중국 지역에서 발굴한 우리 국군 유해 60여 구를 전해주었습니다.

백마고지 발굴 생생한 전쟁 기록의 발굴.

70년 동안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아 전쟁 당시 그대로 보존된 지역, 비무장지대.

그곳에는 생생한 전쟁의 흔적들이 그대로 묻혀있습니다.

유해발굴에서 제일 중요한 일은 폭발물 제거 작업입니다.

백마고지는 적과 아군이 30만발의 포탄을 쏟아부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고지가 무너지고, 땅이 뒤집히며 생긴 새하얀 먼지가 쌓여 ‘백마고지’란 이름이 생겨 날 정도였습니다.

상당수의 오발탄과 미사용 탄들이 백마고지에서 발견됐습니다.

공병대의 지뢰탐지기가 폭발물을 발견하면 폭발물 전문 처리반인 EOD가 출동해 폭발물을 제거합니다.

폭발물은 부식이 많이 진행되어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도 있지만, 바로 사용해도 될 정도로 보존 상태가 온전한 것도 있어 안전을 위한 조치는 필수적입니다.

폭발물을 수거한 EOD(폭발물 처리부대)는 산불 등 기타 위험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발견된 폭발물을 폭파처리합니다.

다시 찾은 백마고지! - 잊을 수 없는 그 날

70년 전 백마고지 전투에 참전했던 노병들이 고지를 찾아왔습니다.

90살이 넘었지만 백마고지에 다시 오겠다는 일념으로 가파른 고지를 올라 전우의 유해 앞에 섰습니다.

세월의 흐린 기억 속에도 또렷하게 기억나는 나의 군번. 그 군번에는 함께 고지에 올라 생사를 함께 한 전우가 내게 남겨 준 삶의 기억이 남겨져 있었습니다.

나를 위해, 조국을 위해, 먼저 간 전우의 모습에 눈을 뗄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한국전쟁 당시 일등중사였던 이승초 노병은 아직 고지에 남아 돌아오지 못한 전우의 이름을 불렀습니다.

“그 이름 앞에 우리는 이겼노라. 이 땅을 지켰노라. 너는 승리했다”

백마고지 남아있는 전우들에게 이 말을 전하기 위한 70년의 기다림이 끝이 났습니다.

노병들은 자신들이 지나온 길을 지키는 새로운 전우들의 인사를 받으며 백마고지를 떠났습니다.

백마고지 유해발굴 작전 모든 비무장지대에 잠들어 있는 전우를 찾을 때까지

백마고지 14번 유해(고 조웅성 하사로 신원 확인)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 작업

지난 2021년부터 시작된 백마고지 유해발굴작전은 그동안 51구(2022년 7월 기준)를 발굴했고, 앞으로 3년 더 진행될 예정입니다.

그 중 2021년 발굴 유해 2구의 신원을 찾아 가족의 품에 안겨 드렸습니다.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 발굴 작전은 조국을 위해 희생한 모든 분들은 반드시 조국이 기억하고 있다는 정신에서 시작됐습니다.

국가는 국민을 위해 존재하고 언제나 국민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그런 국가의 국민은 스스럼없이 자신을 희생합니다.

유해발굴작전은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희생된 마지막 한 분을 찾을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조국은 당신을 기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