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마감인 파크시스템스 공모주 청약정보 포스팅합니다.
원자현미경 분야의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세간의 이목을 받은 바 있는 기업인데요.
어제 첫날 마감 경쟁률은 일반 0.3209대1, 우대 0.1764대1이었습니다.
청약 유무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 같네요.
아마 이번에도 패스 할 가능성이 높지만요 ^^;;
체크 잘 하셔서 모두 성투하셨으면 합니다.
주간사 : 케이비투자증권
KB투자증권 공모주 청약자격 ▷▷ http://recipeia.tistory.com/508
시장구분 : 코스닥
청약일 : 2015년 12월 9일 ~ 10일 16시 마감
환불일 : 12월 14일
등록예정일 : 12월 17일
<주의> 상기 날짜는 등록예정일 공시이기에 날짜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하루 이틀전에 꼭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공모가 : 9,000원 (공모희망가: 9,000원 ~ 11,000원 ▷ 주당액면가 500원)
공모금액 : 90억원
계좌당 청약한도 : 20,000주 ... 액수로는 계좌당 9,000원* 20,000주 *0.5= 90,000,000원씩 필요합니다.
*일반청약자 배정수량의 30%를 우수고객에게 우선 배정 후, 잔여수량인 70%를 우수고객과 일반고객에 재배정
<청약단위>
10주 이상 ~ 100주 이하 10주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50주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100주
1,000주 초과 ~ 2,000주 이하 200주
2,000주 초과 ~ 5,000주 이하 500주
5,000주 초과 ~ 20,000주 이하 1,000주
공모주 수급분석 : 총공모물량 1,000,000주
.. 기관청약분 750,000주(75%) + 우리사주분 50,000주(5%) + 일반청약분 200,000주(20%)
유통가능물량 : 3,824,858주 (전체 주식의 57.53%)
.. 공모주 물량중 기관분(750,000주) + 일반청약분 (200,000주) + 공모전 주주의 주식 (2,874,858주)
자본금 : (공모전) 24.5억원 ▷ (공모후) 29.66억원
발행주식수 : (공모전) 4,901,155주 ▷ (공모후) 5,931,155주
업종 : 측정, 시험, 항해, 제어 및 기타 정밀기
주요제품 : 원자현미경
<회사개요>
- 1997년 설립, 나노기술개발에 필수적인 최첨단 나노계측장비인 원자현미경(AFM) 개발, 제조, 판매업 영위
- 동사를 창업한 박상일 대표이사는 원자현미경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켈빈 퀘이트 교수 연구실 출신
- 박사 학위 수여 후, 1988년 세계 최초의 원자현미경 회사 Park Scientific Instruments (PSI)를 창업해 원자현미경 상용화에 성공한 이력
- 박 대표는 PSI를 전형적인 실리콘밸리 벤처기업으로 성공시키고 1997년에 PSI를 매각, 한국으로 귀국해 동사를 창업
- 연구용 원자현미경은 주로 신소재, 나노복합소재 등 재료연구에 사용되며, 가장 큰 시장은 대학교와 연구소
- 산업용 원자현미경은 주로 반도체, 전기전자산업에서 생산공정 모니터용 및 FA(Failure Analysis), QC(Quality Control) 분석용으로 사용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클라라 지역, 일본 동경에 현지 판매법인 자회사를 운영
- 싱가폴에 동남아시아 영업지원을 위한 현지법인 자회사 운영 중, 공모후 최대주주 등이 지분 42.59%를 보유
<투자포인트>
1) 압도적인 기술경쟁력, 독창적인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한 원자현미경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
- 비 바이오 업체로는 아스트에 이어 두번째 기술특례 상장 기업
- 기술성 평가 도입 이후 처음으로 평가기관 모두(NICE평가정보, 기술보증기금)에서 'AA' 등급을 받은 기업
- 당사의 원자현미경 제조기술이 국가핵심기술로 선정, 기술유출방지 대상으로 국정원의 보호를 받는 중
-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시료와 탐침이 부딪치지 않는 분리형 스캐너를 이용한 완전 비 접촉모드의 원자현미경 구현, 살아있는 세포를 측정할 수 있는 이온전도현미경 바이오 융합기술 및 3D 원자현미경, 스마트스캔 운용 프로그램 등 전 세계에서 가장 앞선 신기술들을 개발, 적용, 사용의 편의성도 높여 선진국 제품의 성능을 현격하게 앞서고 있음
- 국내 제작된 계측장비가 선진국 제품 모방이 아닌, 독창적인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돼 그 성능이 선진국 제품을 능가하는 경우는 매우 이례적인 사례
2) 기술성 평가기업임에도 불구하고 2015년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
- 3Q15 기준 매출액 138억원, 영업이익 17.4억원 달성 (매출비중: 연구용 원자현미경 60%, 산업용 원자현미경 40%)
- 세계적인 나노일렉트로닉스 연구센터 IMEC 과 차세대 나노계측용 인라인 원자현미경 기술개발 공동협업 및 사업화 제휴 체결. 향후 전세계 반도체 컨소시엄 회원사와 주요 연구기관을 고객사로 유치할 수 있는 발판 마련
- 매출원가율 40% 미만*의 고부가가치 제품라인업 * 업종평균 대비 약 40-50%씩 대폭 하회하는 수준
- 향후 산업용 원자현미경 시장수요 증가에 따라 매출규모 증대될 경우, 매출액영업이익율 및 매출액순이익과 등 수익성 지표 호전 기대
3) 경기변화에 둔감, 긴 기술수명주기(technology life cycle) 및 높은 진입장벽의 특성을 지닌 산업
- 원자현미경은 고유의 기능과 확실한 용도를 가지고 있는 장비로서, 소비재나 통신장비, 반도체 제조장비에 비해 경기의 영향 적음
- 원자현미경을 대체할 기술 또는 장비가 등장할 가능성이 매우 낮아, 50년이나 100년 후에도 원자현미경 시장은 건재할 것으로 예상됨
- 초기시장은 진입장벽 낮은 편이었으나, 20년 이상 제품개발, 개선 과정을 거치며 제품의 완성도와 복잡도가 높아져 높은 진입장벽 형성됨
- 대부분의 계측장비 시장에서는 한번 정착된 메이커가 그 분야에서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특성을 지님
4) 산업용 원자현미경(하드디스크, 반도체 생산공정에 활용) 시장에서의 우위
- 산업용 원자현미경 시장은 반도체 소자와 하드디스크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높은 분해능을 가진 원자현미경의 수요 증가
- Memory 부터 logic 디바이스 관련 전자산업, 정보저장 산업(하드디스크, SSD), 조명, 디스플레이 관련 사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신제품 개발 및 생산품질관리에 원자현미경이 사용됨
- 동사는 '05년부터 하드디스크 시장 진입을 시도, 현재는 전 세계 주요 하드디스크 업체*에 장비를 납품해오고 있음
* Seagate, Western Digital, HGST, Showa Denko, Toshiba 등
특히 PTR 측정과 ADR 기능에 최적화된 제품 구성과 어플리케이션 개발로 경쟁사 대비 제품경쟁력이 월등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중
<Risk 요인>
1) 연구용 시장에서의 부진
- 최근 Bruker, Oxford, Agilent, Hitachi Hightech 등 글로벌 대기업들이 원자현미경 전문 업체들을 인수하는 양상으로 연구용 시장에서는 이들과의 경쟁이 더욱 부담스러워지는 중, 연구용 시장은 대부분이 1회성 구매이므로 제품 자체의 우수성이 높은 M/S를 보장하지 않음
- 오히려 열등한 제품이 브랜드의 명성과 판매망에 힘입어 더 많이 판매되는 경우가 존재해 Made in Korea에 대한 편견 극복 및 마케팅 활동에서의 언어적 장벽 해결이 중요
2) 동사의 주 경쟁사인 Bruker 대비 열위에 있는 제품인지도
- Bruker는 초창기 원자현미경 제조업체 3곳을 모두 M&A한 Veeco AFM을 이어받은 업체로 높은 M/S, 누적사용자 수, 출판논문수 확보
- 따라서 원자현미경의 잠재 고객 다수가 Bruker 제품을 1차적으로 고려하며, 아예 타사 제품을 검토할 의사가 없는 경우도 다수
- 일단 동사를 접촉해 데모를 의뢰한 고객의 경우 데모결과의 우수성 때문에 수주를 받을 확률이 높으나, 데모결과가 우수해도 선입견, Made in Korea에 대한 불신 때문에 Bruker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도 상당수 존재
- 회사의 인지도를 높여 잠재 고객 대다수가 동사에도 제품 문의를 하도록 하는 것과 높은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마케팅 활동 및 촘촘한 영업망 구축이 관건
유사업체 : (주)코메론, (주)에너토크, 피에스텍(주), 옴니시스템(주), (주)제이티, (주)디아이, (주)티에스이, (주)고영
장외종가(12월 9일) : 15000원(공모가 대비 166.67%)
<주의> 주식매수선택권부여
<참고> 수요예측 결과 .. 파크시스템스 기관경쟁률 50.29 : 1, 총 84건 (MAX 28건, 미제시 0건)
<참고> 의무보유확약비율 57.3%
파크시스템스 공모주 청약정보 ▷▷ http://sulia.tistory.com/5222
2015년 12월 공모주 청약 일정 ▷▷ http://sulia.tistory.com/4842
2015년 상장이 예상되는 공모주 1탄 ▷▷ http://recipeia.tistory.com/375
2015년 상장이 예상되는 공모주 2탄 ▷▷ http://sulia.tistory.com/207
2015년 상장이 예상되는 공모주 3탄 ▷▷ http://sulia.tistory.com/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