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널리스틱

 
 
 

출처 : KBS 취재파일 K

 

지난 4월 25일 네팔의 대표 휴양도시 포카라로부터 동쪽으로 80km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한 7.8의 강진.
수도 카트만두가 순식간에 폐허가 되어가는 모습을 보며, 저를 포함한 전 세계 사람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는데요.
2015년 5월 3일 취재파일 K에서는 <대지진, 한국은 안전한가>를 부제로 한국의 대지진 발생 가능성과 대한민국의 대지진에 대한 대비 현황을 살펴볼 예정이라고 합니다.


지난 2010년 무려 30만 명의 사망자를 낸 아이티 대지진.
자연 재해 앞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을 보며, 많은 사람들은 아이티 재건과 더불어 대지진 등 자연재해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요.
이 무렵, 많은 전문가들은 다음 차례로 네팔을 꼽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거듭된 경고에도 네팔 정부는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못했고, 결국 속수무책으로 대지진의 참사를 맞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특히 네팔 대지진을 보며 경악스러웠던 점은 높은 건물들이 너무나 힘없이 무너져 내리는 장면이었습니다.
그러면.
과연 우리나라는 대지진으로 부터 안전할까?
또, 대한민국의 대지진에 대한 대비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오늘 방송에서는 학교 건물의 70% 이상, 공공건축물과 고속철도의 80% 이상이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은 한국의 상황에 대해 보도한다고 합니다.


지난 3월 11일은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 선거가 있던 날이었죠?
특히 이번 조합장 선거는 그 동안 조합장에 대해 잘 알지 못했던 대다수의 국민들이 매스미디어를 통해 조합장이 가지는 어마무시한 권력을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는데요.
무자격자들이 투표에 참가하는 것은 물론 사망한 사람에게 까지 투표권이 주어지는 등 선거가 끝난 후 밝혀진 비리는 지금까지의 문제와는 차원이 다른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합니다.
대체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었을까?
각종 지원 혜택을 받고 있는 가짜 농수축협 회원 등 동시조합장선거를 통해 드러난  협동조합의 비밀을 공개한닥 합니다.


또 오늘 방송에서는 투신자살 기도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한강 '마포대교'에 대해 보도한다고 합니다.
마포대교 생명의 다리 캠페인 등 투신 시도를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투신 시도.
오늘 방송에서는 마포대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알려준다고 하네요.



Posted by 아리아리동동
,


네이버 애널리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