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룡이 나르샤 47회, 무인정사, 살생부, 이방원의 난, 정종 즉위, 삼봉의 최후, 민무질 민무구, 이숙번 순번, 상왕 태조, 이복 형제간의 싸움, 세자 이방석 폐위 살해, 조준, 하륜, 박포, 이지란
TV/드라마 2016. 3. 14. 04:40출처: SBS 월화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오늘밤 22시부터 육룡이 나르샤 47회 방송이 시작됩니다.
지난 46회에서는 '제1차 왕자의 난, 무인년 팔월 기사일, 삼봉 정도전 최후, 남은 심효생 연희 죽음, 송연방, 결전의 날, 이방지 무휼 대결, 맹순이 도담댁, 수견패, 공양왕 아들 은호, 분이의 선택' 등의 이야기가 흥미로왔는데요.
이번 방송에서는 '무인정사, 살생부, 이방원의 난, 정종 즉위, 삼봉의 최후, 민무질 민무구, 이숙번 순번, 상왕 태조, 이복 형제간의 싸움, 세자 이방석 폐위 살해, 조준, 하륜, 박포, 이지란' 등의 이야기가 펼쳐진다고 합니다.
하이라이트는 '삼봉의 최후, 정종 즉위' 등의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되는데요.
반전에 반전으로 이번 47회 방송 역시 무척이나 흥미로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흥미로운 이야기, 오늘밤 방송에서 확인 하시기 바랄께요.
오늘도 무척이나 재미있다고 하니깐요, 방송 절대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
아래는 이번 육룡이나르샤 47회 예고편 속 멘트들입니다.
정도전 : 고단하구나... 방원아...
그럼 간략하게 오늘 방송 내용 정리해 보겠습니다.
- 봉화백 : 삼봉 정도전
- 삼봉이 역모를 꾸민 것으로 조작하려는 하륜의 책략.
- 민제 : 조준 설득
- 이방과 (정종) : 이지란 설득
- 성균관 시절 정도전 별호 (별명) : 꼴통
- 남은 성균과 시절 별호 : 2대 꼴통.
- 숙정문 : 정도전 병력이 모이기로 한 장소.
- 이방원에게 죽기 전, 성균관 명륜전에 앉아 동생 정도광에게 전할 편지를 쓴 정도전.
- 당일, 성균관 불씨를 담당하던 팔봉아재에게 서찰과 유품을 전해 달라고 부탁.
- 정도전 명대사 : 태산을 쌓았건만 흙 한 삼태기가 모자르네..
- 정도전 명대사 : (요동정벌을 하지 않겠다는 이방원에게) 그 또한 살아남은 자가 결정할 일이다. 생자(살아남은자)가 스스로 생각하고 고민하여 시대를 이끌어가야 하는 것이다. 망자(죽은 자)가 시대를 이끌어서야 되겠느냐.
- 왕자의 난의 원인 : 세자 책봉 문제와 요동 정벌 준비에 따른 오해에서 비롯
- 살생부 : 정도전 남은, 박위, 유만수, 장지화, 이근, 심효생, 세자 이방석, 이방번
- 세자 이방석 폐위, 귀양 도중 살해, 이방석의 동복형 이방번도 함께 살해
- 민무질, 민무구 : 민다경의 남동생들
- 죽은 중전의 묘 조성에 참여중인 안산군수 이숙번의 순번일자를 통해 묘안.
- 하륜 책략 : 이숙번이 안산 병력을 이끌고 한양 입성이 가능한 날이 결전의 날.
- 요동정벌을 반대하는 조준에게 세자를 맡기는 태조. (조준 배신)
- 요동정벌 출병일 : 숙정문 앞, 8월 20일 오시. 그러나 태조의 병환으로 인해 7일 늦춰 출정일을 8월 27일 확정.
- 이숙번 순번 일자 : 8월 26일 .. 제 1차 왕자의 난 반발
- 이방원 일행의 결사일 : 이숙번 순번일인 8월 26일 인경.
- 인경 : 밤 10시 통행금지를 알리기 위해 치는 종
- 이방원, 무휼, 적룡, 이방간이 정도전, 남은, 심효생(세자 이방석의 장인)을 죽이려 남은의 별장 송현방으로 출발한다.
- 연희 죽음
- 이방지 무휼 대결
- 분이의 선택
- 맹순이 도담댁 '뿌리 깊은 나무'
- 정도광 : 정도전 동생,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에서 밀본 2대 본원. 아들 정기준 (가리온) 부자 모두 가상인물. 실제 정도전의 동생으로 정도존과 정도복 두 사람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정도복이 관직을 받았다는 기록만 남아 있다고 한다.
- 이방우 : 진안대군, 이성계의 장남
- 이방과 : 영안대군, 이성계의 2남, 2대왕 정종
- 이방의 : 익안대군, 이성계의 3남
- 이방간 : 회안대군, 이성계의 4남
- 이방원 : 정안대군, 이성계의 5남, 3대왕 태종
- 이방연 : 덕안대군, 이성계의 6남,
- 이방번 : 무안대군, 이성계의 7남, 강씨 소생
- 이방석 : 의안대군, 이성계의 8남, 세자 책봉, 강씨 소생
- 1398년 8월 25일 정변 모의 .. 이방의, 이방간 등 왕자들을 포섭, 이숙번, 민무구, 민무질, 조준, 하륜, 박포, 이지란 등으로 하여금 군사를 일으킴.
- 제1차 왕자의 난 1398년 8월 26일 .. 남은의 별장 송현방에서 정도전과 남은을 죽이고, 같은 시각 박위, 유만수, 장지화, 이근, 심효생을 살해, 세자 이방석은 폐위, 귀양 보내는 도중 살해, 이방석의 동복형 이방번도 함께 살해
- 9월 정종 (이방과, 영안대군) 즉위
- 제2차 왕자의 난 1400년 1월, 태종 (이방원) 즉위